728x90 SQL3 용어 정리: DW·OLAP에서 Zero-Copy 공유까지 “빅데이터·AI 시대에 자주 보이는데, 정확히 뭘 뜻하는 걸까?” 싶은 용어들을 한 눈에 정리했습니다.OLTP / OLAP / ELT / DW / 컨버지드 DB / Unistore / Select AI … 헷갈릴 때마다 복습용으로 꺼내 보세요!1. 기본 개념용어한 줄 정의기억 포인트DW (Data Warehouse)여러 업무(OLTP) 시스템에서 모아 온 데이터를 분석용으로 통합·정형화해 쌓아 둔 저장소스냅샷·이력 데이터를 길게 보관 → 장기 트렌드 분석에 최적OLTP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쇼핑 결제·계좌 이체처럼 “한 번에 한 건” 빠르게 처리하는 트랜잭션 DBINSERT·UPDATE 성능과 무결성이 최우선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2025. 6. 16. DBMS 내부 구조와 효율적 데이터 관리 방식 현대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는 대규모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빠르게 검색하며, 동시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내부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DB가 테이블의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하고, 인덱스(Index) 없이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식, 인덱스를 통해 효율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하는 과정을 기술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마지막에는 대표적인 DBMS(Oracle, MySQL, PostgreSQL) 각각이 어떻게 데이터를 관리하고 인덱스를 구현하는지에 대한 특이한 점도 정리합니다.1. DB가 테이블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 (Data Level 상세)1.1 페이지(블록) 단위의 저장관계형 DBMS는 테이블 데이터를 페이지(Page) 또는 블록(Block) 단위로 .. 2025. 3. 31. SQL ORDER BY VS RANK 함수의 성능 비교: 인덱스 활용과 블록 I/O 관점 SQL 쿼리에서 ORDER BY는 단순히 결과를 정렬할 때 사용하고, RANK(Window Function)는 순위를 매길 때 사용합니다.하지만 대용량 테이블에서 이 둘을 잘못 사용하면 예상보다 큰 I/O와 CPU 자원(정렬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ORDER BY와 RANK의 동작 원리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인덱스 존재 여부에 따른 Big(O) 시간 복잡도 및 효율적인 사용 사례를 정리해보겠습니다.1. ORDER BY vs RANK: 블록 읽기(Physical I/O) 방식 및 연산량(Big(O) 표기)1-a. 인덱싱된 컬럼 사용 시ORDER BY인덱스를 완전히 활용할 수 있는 경우예: ORDER BY 인덱스_컬럼DB 옵티마이저가 인덱스의 정렬 순서를 그대로 활용 → 별도의 정렬 연산 최.. 2025. 3. 28. 이전 1 다음 728x90